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Communication 4

[통신공학/통신이론] 1.신호 및 시스템의 기초 (1.2 Fourier Transform)

통신의 자원인 bandwidth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자원입니다. 즉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분석을 위해 퓨리에 변환을 공부해야 합니다. X(f)를 x(t)의 스펙트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X(f) 와 x(t) 는 정보의 표현방법만 다를 뿐이다. 여기서 만약, x(t) 가 실수 신호 (real signal) 이라면 그 퓨리에 변환 X(f)는 복소수 신호 (complex signal)가 된다. 복소수는 크기와 위상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X(f)를 이렇게 쓸수도 있다. 만약 x(t)가 실수 신호라면 X(f)의 크기는 우함수 위상은 기함수가 된다. 또한 우리는 통신의 carrier로 cosine 함수를 많이 이용할 것이다. cosine의 퓨리에 변환에 관해 살펴보면 여기서 델타 함수는 이렇게 정의한다...

[통신공학/통신이론] 1.신호 및 시스템의 기초 (1.1 신호의 구분)

신호(Signal)를 시간과 크기로 구분한다면,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 (Analog signal) - 연속시간 & 연속크기 디지털 신호 (Digital signal) - 이산시간 & 이산크기 연속시간 & 이산크기 이산시간 & 연속크기 우리의 목소리 즉,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 하면 이산시간 & 연속크기 신호가 되고, 이 신호를 양자화 시켜 디지털 신호로 바꾸게 된다. 신호를 시간과 크기로 구분하지 않고 deterministic signal 과 random signal 로도 구분할 수 있다. random signal은 noise(잡음) 이라 생각하면 된다. 신호를 power signal, energy signal로 구분할 수 있다. 평균 전력이 0이 아니면서 유한하면 전력신호, 에너지..

[통신공학/통신이론] Extra. 통신의 개요

본격적으로 통신공학을 공부하기에 앞서 통신의 역사부터 살펴보고 가려합니다. 통신사 면접에서 통신의 역사 즉 1G 2G 3G 4G 5G 의 차이점을 알고있으면 면접관들이 매우 좋아한다고 하네요.(믿거나 말거나) 통신의역사 1820 - Hans Christian Oersted (외르스테드)는 전류가 자기장을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 1831 - Michael Faraday (패러데이)는 전자기 유도현상 발견 보내는 쪽 ( 송신단 / Tx ) 에서 전류의 변화는 자기장과 전기장을 유도시키고, 멀리 떨어진 받는 쪽 ( 수신단 / Rx ) 에서의 전류가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바뀌게 됨으로써 무선 통신이 가능. 1876 - Bell의 전화 발명 1896 - 마르코니의 무선 통신 최초 시현 1920 - AM (Ampli..